분류 전체보기25 에이브 (AAVE) 1. 에이브 코인이란 에이브는 2017년 Etherlend라는 이름으로 P2P 대출 서비스를 개발 시작하였다. 2018년 컴파운드의 성공을 벤치 마크하여 P2C 랜딩 프로토콜 Aave로 리브랜딩 하였다. 초기에는 컴파운드를 벤치마크하였으나 이후 플래시 론 등 독자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No.1 랜딩 프로토콜로 자리매김하였다. 곧 출시가 예정인 V3 버전에서는 포탈, 레이어 2 특화 페이지 등 서비스 제공을 통해 완전한 멀티 체인 프로토콜로의 도약을 준비 중이다. 이더리움 기반의 랜딩 서비스로 시작하였으나, 2021년 4월에는 레이어 2 폴리곤 마켓도 출시하였다. 2021년 8월 설립자 스타니 쿨레초프는 솔라나, 아발란체 등 멀티 체인 랜딩을 지원할 것이라 발표하였다. 이후 2021년 10월 EVM 호환 .. 2022. 9. 19. 미버스 (MEVERSE) 1. 제2의 위믹스를 꿈꾸는 미버스 미버스는 국내 캐주얼 게임 개발사 미투젠(ME2ZEN)의 자회사인 미버스 랩스에서 개발 중인 L1 블록체인이다. 2022년 1월 28일 미투젠이 샌드 스퀘어를 인수함에 따라 기존 플레타(Fleta) 2.0 블록체인을 미버스로 리브랜딩 하였다. 미투온 그룹의 게임 서비스에 P2E 경제와 NFT를 접목하여 글로벌 시장으로 생태계를 확장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미버스는 최근 자체 DEX및 브릿지 개발을 완료하며 인프라 강화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3월 17일 서비스 개시 이후 DEX 활성도 지표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며 미버스 브릿지는 현재 이더리움, BSC, 폴리곤, 클레이튼, 토모 체인 메인 넷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포켓배틀스, 솔리테르, 리.. 2022. 9. 15. 이더리움 클래식 (Ethereum Classic) 1. 이더리움 클래식 이란 해킹, 해킹, 해킹, 해킹 이더리움 클래식을 따라다니는 꼬리표 중에 하나는 바로 해킹이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현재 이더리움 이전의 이더리움이다. 2016년 7월, 이더리움 위에서 구현되던 The DAO 프로젝트의 보안 취약성을 이용한 해킹 공격이 있었다. 당시 약 360만개 정도의 이더리움이 도난을 당했으며, 이더리움의 가격이 21달러에서 13달러까지 가격이 하락하였다. 해결을 위해 이더리움 재단이 제시한 방법은 DAO 와 해당 Child DAO의 이동을 정지하는 소프트 포크(Softfork), DAO 토큰 보유자들이 이더를 되돌려 받게 하는 하드포크 (Hardfork) 두가지였다. 대다수의 지지를 받아 하드포크를 진행하였으나 기존 이더리움 블록체인이 계속 운영되고 거래소에 해.. 2022. 9. 13. 이더리움 ( Ethereum ) 1. 이더리움 이란 2015년 7월 30일 러시아의 프로그래머 비탈릭 부테린에 의해서 개발되고 발행된 암호화폐로서 비트코인과 함께 가장 유명한 암호화폐 중 하나이다. 하지만 비트코인과는 다르게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결제는 물론 계약서, 전자투표, SNS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투명하게 운영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한다. 블록체인 기술을 여러 분야에 접목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한 기술로 2세대 블록체인 이라고도 한다. 이더리움의 높은 활용성 덕분에 이더리움 기반의 다른 코인들도 많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그 예로 골렘(Golem), 어거(Augur), 베이직 어텐션 토큰(Basic Attention Token) 등이 있다. 대표적인 채굴코인의 하나로서 시중에 나오는 그래픽 카드들의 품귀현상을 만.. 2022. 9. 7. 이전 1 ··· 3 4 5 6 7 다음